국제원자력기구(IAEA)가 일본 정부의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 방류 계획이 국제 안전 기준에 부합한다는 내용의 최종 보고서를 4일(현지시간) 발표했습니다.
이번 오염수 방류가 인체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이라는 게 IAEA의 설명인데요.
인접국인 중국과 한국이 방류 계획에 반대하는 가운데 나온 발표라 더욱 파장이 큽니다.
도쿄를 방문 중인 라파엘 그로시 IAEA 사무총장은 4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만나 2년간에 걸친 안전성 평과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그러면서 방류가 시작된 이후에도 일본 당국과 계속 연계해 안전성을 검토할 것이라고 덧붙였는데요.
지난 5월, IAEA는 일본의 원자력 규제 기관인 ‘도쿄전력(TEPCO)’이 오염수에 포함된 방사성 핵종을 “정확하고 정밀하게 측정할” 능력을 입증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도쿄전력의 최종 방류 승인은 이르면 이번주 내로도 나올 수 있다고 합니다.
한편 우리 정부는 IAEA의 보고서 공개 당일은 바로 입장을 내놓지 않은 채 신중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매일 진행되는 후쿠시마 오염수 처리 관련 일일 브리핑에서 정부의 입장을 공개적으로 밝힐 것으로 예상됩니다.
자체 준비 중인 검증보고서에 입장도 함께 담겠다는 방침인데, 다만 IAEA 보고서 결과에 따라 검증보고서 내용이 바뀌지는 않을 거라고 강조했습니다.
IAEA의 이번 조사 결과는 자국민들은 물론 인접국의 우려를 낮추기엔 부족할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은 일본 정부의 이러한 계획을 강하게 비판하며, 지난 3일 IAEA에 이를 승인하지 말라고 경고하기도 했는데요.
한국에선 식품 안전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일본이 오염수를 방류하기 전 바다 소금을 비축하는 시민들이 늘어나는 웃지 못할 해프닝이 벌어지기도 했습니다.
아울러 현지 어민들 또한 후쿠시마 수산물 기피 현상이 나타날 것이라며 방류 계획에 격렬히 반대했는데요.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주변국인 중국과 러시아 등에서도 반대 의사를 표명하며 반발하고 있지만 현재로써는 계획대로 방류가 진행될 가능성이 점점 커지는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잘못된 오염수의 방류는 해양 생태계 파괴뿐만 아니라 인간에게도 큰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 글에서는 현재 논란이 되고 있는 일본의 방사능 오염수 처리 문제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방사능 오염수란 무엇인가요?
방사능 오염수는 원자력 발전소 내 핵연료봉을 냉각시키기 위해 냉각수를 주입하는데, 이때 외부로 누출되는 방사성 물질들이 물에 녹아들어 만들어진 액체나 기체 형태의 오염물질을 말합니다. 이렇게 생성된 방사능 오염수는 인체에 치명적인 세슘, 스트론튬, 코발트 60 등 각종 방사성 물질들을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삼중수소(트리튬)라는 수소 동위원소는 자연계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 인공 원소이기 때문에 더욱 위험합니다.
일본의 방사능 오염수 방출계획은 어떤가요?
현재 일본 정부는 2022년 여름쯤 약 125만톤의 방사능 오염수를 태평양에 방류한다는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해당 양으로는 바닷물 전체 표면적의 0.0001%밖에 되지 않아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다는 의견이지만, 실제로 얼마나 많은 양이 유출될지는 아무도 알 수 없습니다. 또한 이미 지난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당시 쓰나미로 인해 후쿠시마 제1원전 1~4호기가 폭발하면서 다량의 방사능 오염수가 인근 바다로 흘러들어간 바 있고, 이로 인해 지금까지도 계속해서 방사능 오염수가 나오고 있다는 점 역시 우려스러운 부분입니다.
우리나라에게 끼치는 영향은 없나요?
우선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연구팀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해역 수산물 중 요오드 131 농도는 최대 2.6배, 세슘 137 농도는 최대 4.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게다가 최근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 연구팀은 “후쿠시마산 어류 섭취 시 갑상선암 발병률이 높아질 수 있다”고 경고하기도 했습니다. 즉, 앞으로 다가올 미래에 대한 예측은 불가능하지만 적어도 가까운 시일 내에 국민 건강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는 뜻입니다.
지금 당장 눈에 보이는 피해가 없다고 해서 안심할 수만은 없습니다.
물론 과학 기술의 발달로 인한 편리함 이면에는 항상 인류의 안전이라는 무거운 책임이 뒤따르는 만큼, 하루빨리 관련 기관 간 협력을 통해 해결책을 모색해야 할 것입니다.